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스테이블코인이란? 개념

    스테이블코인은 가치 안정성을 목표로 하는 암호화폐로, 달러나 유로 같은 법정화폐 또는 금, 채권 등의 자산에 연동되어 가격 변동을 최소화한다. 블록체인 위에서 발행되어 결제, 송금, 디파이(DeFi)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변동성이 큰 기존 암호화폐의 한계를 보완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시작과 역사

    스테이블코인의 등장은 201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BitUSD가 비트셰어스(BitShares) 블록체인에서 최초로 발행되며, 암호화폐 담보 기반의 안정화 모델을 제시했다.
    • 같은 해 테더(Tether, USDT) 가 등장해 달러에 직접 연동되는 담보형 스테이블코인 시대를 열었다.
    • 이후 DAI(MakerDAO) 등 다양한 암호화폐 담보형 모델이 등장하며 시장이 확대되었다.
    • 2022년 테라(UST) 붕괴 사태로 인해 “디페깅(peg 해제)” 리스크가 대두되며, 스테이블코인 신뢰성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 2025년 현재 시장 규모는 3,000억 달러를 넘어서며, 제도권 금융과의 결합이 가속화되고 있다.

    현재 상태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USD)에 연동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코인은 USDT(테더)USDC(서클) 이다.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결제 및 송금 수단으로 빠르게 확산 중이며, 각국 정부는 규제와 제도화를 위한 법적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발행, 담보, 감독 요건을 명시하는 법안이 논의되고 있고, 금융기관들도 스테이블코인 도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원인 및 리스크 요인

    1. 도입 배경

    • 변동성 완화: 비트코인 등 기존 암호화폐의 가격 급등락 문제를 해결하려는 수요
    • 송금·결제 효율성: 빠르고 저비용의 국경 간 결제 가능
    • 금융 불안정 국가 수요: 통화가 불안정한 국가(터키, 아르헨티나 등)에서 가치 저장 수단으로 활용
    • 디지털 금융 확장: 블록체인 기반 금융 생태계 확산

    2. 리스크 요인

    • 담보 및 신뢰성 문제: 발행사가 충분한 준비금을 확보하지 못하면 가치 붕괴 위험
    • 규제 불확실성: 국가별 법적 정의와 감독 체계가 미비
    • 통화정책 충돌: 민간 스테이블코인이 확산되면 중앙은행의 통화 조절 기능 약화 가능성
    • 환매 및 유동성 위험: 대규모 환매 시 발행사가 대응하지 못할 가능성
    • 기술적 문제: 오라클 오류, 해킹, 담보 자산 가치 급락 등

    주요 관련 기업 및 주식

    기업 관련성

    서클(Circle) USDC 발행사, 상장 추진 중
    코인베이스(Coinbase) USDC 공동 소유, 거래 인프라 제공
    페이팔(PayPal) 자체 스테이블코인(PYUSD) 도입
    로빈후드(Robinhood) 암호화폐 및 스테이블코인 거래 확대
    피겨 테크놀로지스(Figure Technologies) 신규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IPO 추진

    한국 내 입법 및 제도 동향

    • 2025년 7월,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법안이 발의되며, 원화 연동 코인 발행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 현재 국회에는 3~5개의 관련 법안이 계류 중이며, 금융위원회와 국회가 통합안을 조율 중이다.
    • 쟁점은 스테이블코인을 화폐로 볼 것인지, 가상자산으로 볼 것인지, 그리고 발행 주체(은행 vs 비은행) 를 어디까지 허용할지가 중심이다.
    • 일부 법안은 이자 지급 금지, 글로벌 호환성 확보, 자본금 요건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 한국은행은 통화 주권 및 금융 안정성 훼손 우려를 제기하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 중이다.

    한국 기업 및 테마주

    기업 연관 활동 및 기대 요인

    카카오페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출원, 결제 인프라 보유
    카카오 / 카카오뱅크 금융·결제 시스템 기반으로 사업 확장 가능성
    LG CNS 블록체인 인프라 기술 보유, 스테이블코인 테마주로 언급
    아이티센글로벌 / 헥토파이낸셜 / 다날 / 미투온 지급결제 인프라 및 블록체인 관련 사업 수행
    NHN KCP 상표권 출원 및 전자결제 인프라 확장

    시사점

    1. 금융 패러다임 변화
      스테이블코인은 중앙은행 중심의 금융 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2. 달러 패권 강화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이 달러에 연동되어 있어 글로벌 금융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강화된다.
    3. 신뢰성 확보의 중요성
      발행사의 투명한 준비금 운영과 환매 보장 시스템이 시장 신뢰의 핵심이다.
    4. 정책적 과제
      각국은 법적 정의와 규제 체계를 명확히 해야 하며, 한국은 특히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제도화를 서둘러야 한다.
    5. 투자 관점
      코인 자체보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인프라 기업, 결제 네트워크 기업이 중장기 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다.

    요약하자면,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달러’로 불릴 만큼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다만 신뢰, 규제, 담보, 환매 등 복합적 리스크가 여전히 남아 있으며, 특히 한국은 제도화 여부에 따라 시장의 성장 속도가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