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치매노인 위치추적기(배회감지기) 종류와 신발형 안내 및 신청방법
치매노인 실종 예방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위치추적기(배회감지기)가 활발히 보급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신발 깔창형 GPS 추적기 등 혁신적인 제품이 도입되어, 많은 보호자와 가족에게 호응을 받고 있습니다.
위치추적기는 우리 동네에서 가까운 치매안심센터에서 문의할 수 있습니다. 위치추적기 신청 및 각 종 정보 확인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1. 치매노인 위치추적기 종류
- 시계형/밴드형
손목시계, 스마트밴드 형태로 손목에 착용하는 방식입니다. 실시간 위치확인과, 일정 구역(안심존) 이탈 알림, SOS 긴급신고, 전용 앱 연동 등의 기능을 지원합니다. - 목걸이형
목에 걸고 다닐 수 있으며, 버튼을 통한 긴급호출과 위치추적이 가능한 소형 디바이스입니다. - 주머니형/열쇠고리형
주머니나 옷 등에 부착할 수 있고, 작고 이동이 편리해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 가능. - 신발 깔창형(GPS 인솔) 위치추적기
치매 어르신이 외출 시 반드시 착용하는 신발을 활용한 방식입니다. 신발 인솔(깔창)에 GPS와 통신장치를 탑재, 별도의 기기 착용에 거부감이 있는 고령자에게 매우 효과적입니다.
스마트폰 연동을 통해 보호자는 실시간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설정한 안전구역(안심존)을 벗어날 경우 즉시 알림이 전송됩니다. 또한 신발끈에 NFC태그를 부착해, 발견 시 휴대폰을 태그에 대기만 해도 신상 및 보호자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매트형
출입문, 침대, 베란다 등에 깔아 실내 이탈 여부를 감지, 보호자에게 알림을 보냅니다. 실외추적은 불가하나 실내 사고 예방에 유익합니다.

2. 신발형 위치추적기 (꼬까신 등)
신발형 위치추적기는 국내 여러 지자체에서 ‘꼬까신’이라는 이름으로 공급, 깔창에 GPS 인솔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어르신이 다른 보조기구는 빼더라도 신발은 반드시 신고 나간다는 점에 착안, 실제 실종방지 효과가 높아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제품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 GPS 실시간 위치추적 : 보호자용 앱을 통해 이동경로와 현재 위치를 언제든 확인 가능
- 안심존(Geofence) 설정 및 이탈 알림 : 미리 지정한 구역을 벗어나면 즉시 보호자에게 알림 발송
- NFC 태그 부착 : 신발끈 등에 태그를 부착해, 시민이나 경찰이 휴대폰을 대면 신상·연락처 전달
- 생활 방수, 장시간 배터리, 편안한 착용감으로 일상생활에 전혀 불편함이 없음
이러한 신발형 추적기는 현재 전남 강진군, 서울 성동구, 대구 등 지자체와 경찰, 사회복지단체에서 보급이 진행 중이며, 수급자격이 있는 치매노인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3. 각 추적기 신청방법
- 치매안심센터 방문 신청
주민등록상 주소지 치매안심센터에 보호자가 직접 방문, 아래 서류를 구비해 신청합니다.
- 치매 진단서 또는 처방전(치매 확인서류)
- 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 대상자와 신청자 신분증
치매안심센터 찾기 바로가기 - 서울 성동구 신발형 위치추적기(꼬까신) 신청
- 성동구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하거나 유선 문의(☎ 02-2286-7171),
꼬까신 공식 바로가기- 전국 기타 복지용구 배회감지기 대여 및 신청
- 등급 판정을 받은 장기요양수급자는 복지용구급여확인서를 준비해 각 복지용구사업소 방문, 계약 후 본인부담금 납입 및 대여(기초생활수급자 무료)
노인장기요양보험 복지용구 안내 - 경찰청 안전Dream 사전등록 제도(지문·사진등록)
안전Dream 바로가기

4. 지원 내용 및 참고사항
- 2027년까지 치매 환자 및 발달장애인 대상으로 배회감지기 무상보급·최대 2년간 통신비 전액 지원
- 기초생활수급자는 전액 무료, 일반은 15%의 본인부담금 발생(지역·제품별 약간의 차이 있음)
- 제품 선정, 기능, 보급방식 등 상세 문의는 거주지역 치매안심센터나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에서 안내받을 수 있음
5. 부가 안내
- 제품 종류와 신기능, 지역별 신청방법, 비용 지원정책 등은 해마다 다소 변할 수 있으니, 최신 안내는 꼭 치매안심센터에 확인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FAQ)
치매노인 신발형 위치추적기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발형 위치추적기의 경우 해당 지자체(예: 성동구, 전남 강진) 치매안심센터에 직접 문의 또는 온라인 공지와 홍보를 확인해 신청 가능합니다. 전국적 보급이 확대되는 추세로, 가까운 치매안심센터 또는 복지용구사업소에 문의하세요.
비용 지원은 어떻게 이뤄지나요?
기초생활수급자는 무료, 일반은 본인부담금 15% (2025년 기준). 장기요양급여 대상자라면 통신비도 최대 2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