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트럼프 관세에 따른 한국의 2차 피해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조치로 인해 한국은 25%의 직접 관세를 부과받았지만, 베트남에 부과된 46%의 높은 관세는 한국 기업들에게 상당한 2차 피해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생산기지에 미치는 영향

    • 삼성전자: 베트남 북부 박닌(Bac Ninh)과 타이응우옌(Thai Nguyen)에 두 개의 스마트폰 공장을 운영하며, 월간 최대 1,000만 대의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생산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생산 규모: 베트남 공장은 삼성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량의 50% 이상을 담당하며, 생산된 제품은 미국을 포함한 128개국으로 수출됩니다.
    • 경제적 규모: 2024년 삼성의 베트남 자회사들은 총 625억 달러의 매출과 544억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으며, 이는 베트남 전체 수출의 14%에 해당합니다.
    • 관련 계열사: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삼성전기,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등도 베트남에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함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LG전자 및 다른 한국 기업들의 피해

    • LG전자: 베트남 하이퐁(Hai Phong)에 대규모 생산기지를 운영하며 TV와 가전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LG그룹: LG그룹의 베트남 3개 주요 공장의 매출은 2024년 14.99조원(약 102억 달러)으로, 전년 대비 9.6% 증가했습니다.
    • 기타 기업: 한새, 금호타이어 등 의류 및 타이어 제조업체들도 베트남에 생산시설을 두고 있어 높은 관세의 영향을 받습니다.

     

    기업들의 대응 전략

    • 공급망 재검토: 삼성전자는 CFO 박순철 주재로 '긴급 공급망 점검 회의'를 소집하여 공급 분산 조치와 부품 수급 점검을 논의했습니다.
    • 가격 인상 가능성: 시장 분석가들은 삼성이 미국 시장에서 이윤을 포기하거나 판매량을 줄이는 선택을 해야 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 생산기지 유연화: LG전자는 "국가별 제조원가 경쟁력을 고려해 생산 거점을 유연하게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경제에 미치는 종합적 영향

    • GDP 감소: 시티그룹은 새로운 관세로 인해 한국의 GDP가 올해 0.16% 감소할 수 있으며, 1.0% 경제성장률 전망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예측했습니다.
    • 환율 영향: 무역 감소로 인해 환율이 상승하며 원화 약세가 심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자동차 산업 타격: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와 4위 품목인 자동차 부품에 대한 별도 25% 관세가 이미 발효되어 한국 자동차 산업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 배터리 산업 영향: 한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는 미국 내 대규모 배터리 생산시설에 투자하고 있어 당장의 관세 영향은 피할 수 있지만, 한국과 다른 국가에서 주로 수입하는 핵심 배터리 소재와 원자재 비용이 상승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이처럼 베트남에 대한 높은 관세는 한국 기업들이 값싼 노동력과 발전된 기술력을 활용하기 위해 구축한 글로벌 공급망을 위협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경제 전반에 걸쳐 상당한 2차 피해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