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세계 교회사 주요 흐름
- 프랑스혁명과 교회(1789~1815)
- 프랑스혁명은 유럽 교회사에 중대한 전환점이었음. 혁명 정부는 교회 재산 몰수, 성직자 시민헌법 제정, 교회와 국가 분리, 반종교적 정책(달력 개혁, 성직자 탄압, 신흥 이성의 제전 등)을 추진. 이로 인해 프랑스 내 가톨릭교회는 분열과 박해를 겪음.
- 1801년 나폴레옹과 교황 비오 7세의 ‘콘코르다트’(정교협약)로 국가와 교회의 관계가 재정립됨. 교회는 일정 부분 회복했으나 국가의 통제 하에 놓임.
- 나폴레옹 전쟁과 유럽의 정치 격변 속에서 교황청은 일시적으로 약화되었으나, 1815년 빈 체제 이후 보수적 복고와 함께 교회 권위가 일정 부분 회복됨.
- 19세기 초~중반: 복음주의·부흥운동과 선교 확대
- 영국·미국 등에서는 ‘제2차 대각성운동’(Second Great Awakening, 1800년대 초)이 일어나 대중적 신앙 부흥, 사회개혁(노예제 폐지, 금주운동, 교육운동 등), 신흥 교파(감리교, 침례교, 복음주의 등) 성장에 크게 기여함.
- 복음주의와 경건주의, 신학적 자유주의(슐라이어마허 등)와 신정통주의(키에르케고르 등) 등 다양한 신학적 흐름이 등장.
- 1804년 영국성서공회, 1810년 미국 해외선교위원회 등 성서보급·해외선교 단체 설립, 아시아·아프리카·남태평양 등지로 선교사 파송 활발.
- 윌리엄 캐리(인도), 아도니람 저드슨(버마), 로버트 모리슨(중국) 등 선교사들이 비서구권에 복음 전파.
- 가톨릭의 변화와 확장
- 18세기 말 예수회 해산(1773) 이후 선교 침체, 프랑스혁명·나폴레옹 전쟁기 교회 약화, 19세기 중반 이후 교황청과 수도회 중심의 선교·복음화 재개.
- 1789년 미국 최초의 가톨릭 주교 존 캐럴 임명, 조지타운대 설립 등 미국 내 가톨릭 기반 강화.
- 라틴아메리카, 북미, 오세아니아 등지로 유럽 이민과 함께 가톨릭 교세 확장.
- 교회와 사회 개혁
- 영국 윌리엄 윌버포스 등 기독교인들이 노예무역 폐지(1807) 등 사회정의 운동에 앞장섬.
- 여성, 빈민, 죄수 등 사회적 약자 구제, 교육·복지사업 확대.
- 미국 흑인교회(AME, 1816) 등 새로운 교파와 신앙공동체 등장.
2. 주요 기독교 인물
-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근대 신학의 아버지, ‘종교는 감정의 체험’이라는 신학적 전환을 이끎(1799년 『종교론』 발표).
- 윌리엄 윌버포스: 영국의 노예제 폐지 운동가, 신앙에 기반한 사회개혁 실천.
- 존 웨슬리·찰스 웨슬리: 감리교 창시, 복음주의 운동 주도(18세기 후반~19세기 초 영향 지속).
- 찰스 시메온: 영국 복음주의 지도자, 54년간 케임브리지에서 사역.
- 아도니람 저드슨: 미국 최초 해외선교사, 버마(미얀마) 선교.
- 로버트 모리슨: 중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
- 엘리자베스 프라이: 영국 여성, 죄수 구제·사회개혁 활동.
- 알렉산더 캠벨·바튼 스톤: 미국 복고운동(복음주의, Restoration Movement) 주도.
- 존 캐럴: 미국 최초 가톨릭 주교, 미국 가톨릭 기반 확립.
- 키에르케고르: 실존주의 신학의 선구자, 신앙의 주체적 결단 강조.
3. 교회사 연표 (주요 사건 중심)
연도사건 및 변화
1789 | 프랑스혁명, 교회 박해·재산몰수, 미국 최초 가톨릭 주교 존 캐럴 임명 |
1793 | 프랑스 혁명정부, 탈기독교화 정책(이성의 제전 등) |
1799 | 슐라이어마허 『종교론』 출간, 근대 신학 전환점 |
1801 | 나폴레옹-교황 콘코르다트(정교협약) 체결 |
1804 | 영국성서공회 설립, 세계 성서 보급 운동 시작 |
1807 | 영국 노예무역 폐지(윌버포스 등 기독교인 주도) |
1810 | 미국 해외선교위원회 설립, 해외선교 본격화 |
1811 | 미국 복고운동(캠벨, 스톤 등) 시작 |
1812 | 저드슨, 미국 최초 해외선교사로 버마 파송 |
1816 | 미국 흑인감리교회(AME) 설립 |
1827 | 플리머스 형제단(존 넬슨 다비) 창립 |
1830s | 제2차 대각성운동(미국), 복음주의·사회개혁 운동 |
1844 | 키에르케고르 『철학적 단편』 발표 |
1848 | 유럽 2월혁명, 교회와 사회의 관계 재조명 |
4. 평가와 의의
- 이 시기는 계몽주의와 혁명, 산업화, 제국주의 등 격변 속에서 기독교가 사회적·지성적 도전에 직면하는 한편, 복음주의와 선교운동, 사회개혁 등으로 새로운 활력을 얻은 시기임.
- 교회는 국가와의 관계 재정립, 신학적 다양화, 세계적 확장, 사회적 책임의식 강화라는 특징을 보임.
- 가톨릭과 개신교 모두 선교, 교육, 복지, 사회정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세계사적 영향력을 확대함.
요약:
1789년 프랑스혁명부터 1848년 2월혁명까지, 세계 기독교는 유럽 내 박해와 분열, 신학적 전환, 복음주의 부흥, 대규모 선교, 사회개혁, 교파 다양화, 교회-국가 관계 재정립 등 근대 교회사에서 가장 역동적인 변화를 겪었다. 주요 인물로는 슐라이어마허, 윌버포스, 저드슨, 모리슨, 존 캐럴 등이 있다.
반응형